2025년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50%지원제도, 신청방법, 보험료 계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지금 신청하지 않으면 나만 손해! 저소득 지역가입자 국민연금 보험료 50% 지원제도로 월 최대 46,350 보험료를 최대 12개월 동안 지원받을 수 있는 신청방법과 지원대상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.
국민연금 지역가입자란?
국민연금 지역가입자란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민 중 사업장가입자가 아닌 분들을 말하며, 자영업자나 프리랜서처럼 별도의 사업장에 소속되지 않는 분들이랍니다.
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제도
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제도란 든든한 노후를 위해 국민연금보험료를 지역 납부예외자 중 보험료 납부를 재개한 분들에게 보험료 일부를 지원함으로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 보험료 지원금 재원은 100% 국가예산으로 운용된다고 합니다.
국민연금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금액
- 지원 비율 : 월 보험료의 50%
- 지원 금액 : 월 최대 46,350원
- 지원 기간 : 생애 최대 12개월 지원
*자세한 문의는 가까운 국민연금공단지사 고객센터(국번없이 1355, 유료)
*국민연금 보험료 지원은 지원금액을 차감한 연금보험료 고지 후, 완납 시 지원받는 방식입니다.
신청방법
국민연금지역가입자 연금 보험료지원 신청은 홈페이지, 모바일 앱, 전화, 방문, 우편, 팩스 등 모두 신청가능.
지금 바로 신청 안 하면 손해 보는 국민연금보험료 지원금 홈페이지 및 모바일 앱으로 신청하세요!
✅연금보험료 지원금 신청하기👉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신청방법
국민연금 홈페이지 접속
[전자민원서비스] 선택 ➜ [개인민원]의 [신고/신청] 선택 ➜ [개인 납부예외자의 납부재개 등 신고(신청)]에서 신청가능합니다.
모바일 앱 : '내 곁에 국민연금' 다운로드
국민연금보험료 지원은 모바일을 통해서도 편리하게 신청이 가능하며 아래 방법을 통해 신청해 보세요.
지원대상
- 실직, 사업중단, 휴직으로 인한 지역 납부예외자
- 국민연금을 다시 납부재개하는 경우 신청 가능
지원제외 대상
- 단, 재산세와 종합소득이 기준 이상일 경우에는 지원받을 수가 없습니다.
- 재산세 과세표준의 합이 6억 이상인 경우 제외
- 종합소득(사업, 근로소득 제외) 1,680만 원 이상은 제외
국민연금 보험료지원으로 평생 연금수령한 사례
월 소득 103만 원, 월 보험료 92,700원을 납부한 A 씨 보험료 지원을 받게 되면
- 납부기간 및 납부 금액 : 국민연금 최소 가입기간(120개월) 동안 총 1,112만 4천 원만 납부
- 매월수령액 : 노후에 매월 연금 203,470을 평생 수령.
- 20년간 연금수령 시 약 4,883만 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이처럼 지원제도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국민연금을 다시 납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습니다. 2022년 7월에 시작된 지역가입자 연금보험료 지원은 2022년 3만 9천 명에게 49억을 지원, 2023년에는 15만 명에게 396억 원을 지원했다고 합니다.
댓글 쓰기